No Image 📷
[23.01.21]
// 열개의 상품 가격 데이터를 갖고있는 배열은 만듭니다. const priceList = [1000, 2000, 3000, 4000, 5000, 6000, 7000, 8000, 9000, 10000]; // 반복문을 활용해 상품들의 가격 합계와 평균을 구해봅시다. // 가격합계 sum을 변수선언! let sum = 0; for(const price of priceList) { sum += price } // 가격평균 avg를 변수선언! const avg = sum / priceList.length // 가격합계와 가격평균을 출력해봅니다. console.log(`가격합계: ${sum}, 가격평균:${avg}`) 해당 코드중에서 sum += price 라는 식을 알아보자 더하기 할당 (+=) 더하기 할당 ..
2023. 1. 21.
No Image 📷
[23.01.12]
{변수, 자료형, 함수, 조건문, 반복문} 해당 5가지가 거의 모든 함수에서 사용되는 문법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. 변수는 값을 담는 것 즉 a = 2 라는 변수값을 준다는건 2를 a에 넣겠다는 뜻이다. 더 정확히 얘기하면, a는 2와 같다는 말이 아니다. a는 2와 같다는 코드는 a==2 이다. 자료형은 숫자, 문자, 리스트형, 딕셔너리형으로 알수있겠다. 함수는 hey() 같은 함수다. 예를 들어서 sum(2,3)을 출력하면 5가 나오게 만드는 식을 함수라 할 수 있다. 조건문은 if~ , else if ~ , else ~ 와 같은 조건이 들어간 형식이다. if 만약 ( 이러이러한 괄호 형식에 조건에 맞으면 ) { 이러 이러한 값을 출력하라 } else if 만약 위의 조건에 부합 하지 않는다면 ( 이러..
2023. 1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