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i Pointer #1 Tilt Normal
본문 바로가기
📁𝐩𝐫𝐨𝐠𝐫𝐚𝐦𝐦𝐢𝐧𝐠𝐋𝐚𝐧𝐠𝐮𝐚𝐠𝐞/JavaScript

[JavaScript] 변수, ( 자료형 ), 함수,조건문 , 반복문 - 연산자 (2)

by 개발자_후니 2023. 1. 12.
728x90
반응형

If 구문을 활용해 조건을 만족했을때만 코드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.

 

이 조건의 결과값이 우리가 배운 Boolean

 

Boolean을 return하는 연산자는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일치연산자가 있다.

 

비교연산자 (Comparison operators) 조건문과 같이 활용이 많이된다.

console.log(1 < 2)
console.log(1 <= 2)
console.log(1 > 2)
console.log(1 >= 2)

[TERMINAL] 출력하면

 

true
true
false
false

 

출력된다,

 

논리연산자 (Logical operators) 조건문과 찰떡 궁합

 

|| ( or ), && ( and ), ! ( not )과 같은 연산자를 말한다. 

 

|| 는 연산 대상중 하나만 ture 여도 true return

 

&&는 연산 대상이 모두 true 여야만 ture return

 

! 는 true 를 false 로, false를 true 로 바꿔서 return

 

let isonsale = true
let isdiscountitem = true

console.log(isonsale && isdiscountitem)
console.log(isonsale || isdiscountitem)

isonsale = false
console.log(isonsale && isdiscountitem)
console.log(isonsale || isdiscountitem)

isdiscountitem = false
console.log(isonsale && isdiscountitem)
console.log(isonsale || isdiscountitem)

console.log(!isonsale)

 

[TERMINAL] 출력하면

 

true
true
false
true
false
false
true

일치연산자 (Equality operators)

=== 일치연산자

console.log(1 === 1)
console.log(1 === 2)
console.log('Javascript' === 'Javascript')
console.log('Javascript' === 'javascript')

[TERMINAL] 출력하면

 

true
false
true
false

 

console.log(1 == '1')
console.log(1 === '1')
 
 
[TERMINAL] 출력하면
 
 
true
false

 

즉 숫자 1과 문자 1은 다르다

 

== 자동 변환해줘서 출력

 

=== 는 엄격한 일치연산자다.

 

 

Quiz.~

 

상품 가격을 나타내는 2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각각의 변수에 원하는 가격값을 할당해봅시다,

두 상품을 더한 가격 역시 총 가격을 나타내는 변수에 할당해봅시다, 

마지막으로 총 가격의 20% 할인된 가격을 구해서 '총 몇원에 물건을 구입합니다. 라는 문자열을 출력해보자.

 

내가 만든 코드

const shirtsprice = 100000
const pantsprice = 80000
let totalprice = 0

totalprice = (shirtsprice + pantsprice) * 0.8

console.log(`총 ${totalprice}원에 물건을 구입합니다. `)

 

선생님이 만든 코드

 

const shoesprice = 100000
const capprice = 80000
const totalprice = shoesprice + capprice

console. log(`총 ${totalprice * 0.8}원에 물건을 구입합니다.`)
 
 
 
같은 결과값이 나왔지만 선생님이 만든 코드가 한줄이 더 짧다.
 
더 간결한 코드라고 볼 수 있다,
 
나는 물건 가격을 const로 주고 total은 let으로 줬는데
 
선생님은 둘다 const로 줬다.
 
어차피 total의 가격은 변하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겠다.
 
 
 
그렇다면 만약 내가 만든 식에서 total도 const를 줘볼까?

 

const shirtsprice = 100000
const pantsprice = 80000
const totalprice = (shirtsprice + pantsprice) * 0.8

console.log(`총 ${totalprice}원에 물건을 구입합니다. `)

 

[TERMINAL] 출력하면

 

 

총 144000원에 물건을 구입합니다. 

 

라는 같은 결과값이 나온것을 알 수 있다.

 

이렇게 3개의 코드가 같은 값을 나오게 만들 수 있다.

728x90
반응형